업무 지식/엑셀 함수70 [엑셀] LEN, SUBSTITUTE 함수를 사용하여 셀의 단어 개수 구하는 방법 셀 안에 있는 단어의 개수를 구하기 위해서는 LEN 함수와 SUBSTITUTE 함수를 사용하면 됩니다. LEN 함수는 인수로 입력한 텍스트의 문자 개수를 구하는 함수입니다. 인수로 입력한 텍스트의 문자 개수가 숫자로 나타납니다. 여기서 주의할 점은 A4셀과 같이 공백이 포함되었을 경우 공백까지도 하나의 문자 개수로 인식한다는 점입니다. 셀의 단어 개수를 구할 때는 LEN 함수 외에도 SUBSTITUTE 함수도 사용됩니다. SUBSTITUTE 함수의 사용 방법은 아래 글을 참고해 주시면 되겠습니다. [엑셀] 텍스트 바꾸기(SUBSTITUTE 함수)텍스트 중 일부를 바꿀 때 찾기 및 바꾸기 창(Ctrl+F)에서 바꾸는 방법도 있지만 SUBSTITUTE 함수를 사용할 수도 있습니다. 함수를 걸어놓으면 자료.. 2024. 7. 5. [엑셀] VLOOKUP 함수 사용 시 찾을 값이 첫 번째 열에 없을 때 해결하는 방법(CHOOSE 함수 활용) 실무에서 정말로 많이 사용하는 함수가 VLOOKUP 함수입니다. [엑셀] 실무에서 많이 쓰이는 VLOOKUP 함수의 사용 방법 실무에서 정말로 많이 쓰이는 함수가 바로 VLOOKUP 함수입니다. VLOOKUP 함수는 표의 첫 열에서 값을 찾은 후, 해당 값의 같은 행에 있는 n번째 값을 가져오는 함수입니다. 함수의 구조는 아래와 같습 pddwork.tistory.com 그런데 VLOOKUP 함수의 구조적 한계가 있습니다. 바로 배열의 '첫 번째' 열에서 값을 검색하여 지정한 열의 같은 행에 있는 값을 가져온다는 점입니다. 즉 검색하고자 하는 값이 첫 번째 열에 없을 경우에는 원하는 값을 가져올 수 없습니다. 예를 들어 위와 같은 상황이 대표적인 예입니다. H2셀에 이름을 입력하면 I2셀부터 K2셀에 자동.. 2023. 8. 3. [엑셀] CHOOSE, WEEKDAY 함수로 요일 표시하는 방법 엑셀에서 특정 날짜의 요일이 무엇인지 나타내고자 할 때 사용하는 함수가 CHOOSE 함수와 WEEKDAY 함수입니다. CHOOSE 함수의 사용법에 대해서는 지난 포스팅에서 간략하게 설명드렸습니다. [엑셀] CHOOSE 함수로 목록에서 값을 골라 나타내는 방법 CHOOSE 함수는 함수의 이름에서 유추할 수 있듯이 인수로 지정한 숫자에 대응되는 값을 목록에서 골라서 나타낼 수 있는 함수입니다. 단독으로 쓰이기도 하지만 다른 함수와 결합해서 유용하게 pddwork.tistory.com CHOOSE 함수 외에 사용되는 함수가 WEEKDAY 함수입니다. WEEKDAY 함수는 일정 날짜의 요일을 나타내는 1에서 7까지의 수를 구하는 함수입니다. 함수의 구조는 아래와 같습니다. =WEEKDAY(Serial_numbe.. 2023. 8. 1. [엑셀] CHOOSE 함수로 목록에서 값을 골라 나타내는 방법 CHOOSE 함수는 함수의 이름에서 유추할 수 있듯이 인수로 지정한 숫자에 대응되는 값을 목록에서 골라서 나타낼 수 있는 함수입니다. 단독으로 쓰이기도 하지만 다른 함수와 결합해서 유용하게 사용되기도 하고 다른 함수들이 가지고 있는 한계를 보완해 주는 역할을 하기도 합니다. 함수의 구조는 아래와 같습니다 =CHOOSE(Index_num, Value1, Value2, Value3 , ... Value254) 첫 번째 인수 'Index_num'는 골라낼 값의 위치를 지정하는 인수입니다. 1부터 254까지의 수이거나, 1부터 254까지의 수에 대한 참조나 수식을 입력할 수 있습니다. 두 번째 인수 'Value1'부터 'Value254'까지는 인수를 계속해서 추가할 수 있습니다. 'Value1'은 첫 번째 인수.. 2023. 7. 30. [엑셀] 이름 중 일부를 별표(*)로 표시하는 방법 지난 포스팅에서 이름 중 가운데 글자를 별표(*)로 표시하는 방법에 대해 포스팅했습니다. [엑셀] REPLACE 함수로 이름, 주민등록번호 별표(*) 표시하는 방법 사무 작업을 하면은 개인정보를 마스킹 처리할 때가 많이 있습니다. 특히 이름이나 주민등록번호의 경우 일부는 별표(*) 처리하는 경우가 많은데요. 오늘은 REPLACE 함수로 이름과 주민등록번호의 pddwork.tistory.com 이름이 있는 셀이 A1셀일 경우 '=REPLACE(A1,2,1,"*")'로 입력하면 이름의 가운데 글자를 별표(*)로 바꿀 수 있다고 설명드렸습니다. 그런데 위 수식은 이름이 세 글자일 경우에만 가운데 글자가 별표로 바뀌고 만약 이름이 네 글자인 경우에는 '황*정훈'과 같이 두 번째 한 글자만 별표로 바뀝니다. 만약.. 2023. 7. 25. [엑셀] REPLACE 함수로 이름, 주민등록번호 별표(*) 표시하는 방법 사무 작업을 하면은 개인정보를 마스킹 처리할 때가 많이 있습니다. 특히 이름이나 주민등록번호의 경우 일부는 별표(*) 처리하는 경우가 많은데요. 오늘은 REPLACE 함수로 이름과 주민등록번호의 일부를 별표(*)로 표시하는 방법을 설명드리도록 하겠습니다. 먼저 REPLACE 함수의 구조는 아래와 같습니다. =REPLACE(Old_text, Start_num, Num_chars, New_text) 첫 번째 인수 'Old_text'는 일부분을 바꾸려는 텍스트입니다. 두 번째 인수 'Start_num'은 Old_text에서 바꾸기를 시작할 위치입니다. 세 번째 인수 'Num_chars'는 Old_text에서 바꾸려는 문자의 개수입니다. 네 번째 인수 'New_text'는 Old_text의 일부를 대체할 새 텍.. 2023. 7. 24. [엑셀] NOW 함수로 현재의 날짜와 시간 나타내기 현재의 날짜를 나타낼 때는 TODAY 함수를 사용하면 됩니다. B3셀에 '=TODAY()'을 입력하자 현재 날짜가 나타납니다. 나타나는 날짜의 형식은 셀 서식에서 바꿀 수 있습니다. 그런데 만약 날짜뿐만 아니라 현재의 시간까지 같이 나타내려면 TODAY 함수만으로는 되지 않습니다. 날짜 형식 중에 시간까지 같이 표시하는 형식이 있지만 TODAY 함수는 현재의 날짜만 나타내기 때문에 표시 형식을 바꿔도 시간이 바뀌지는 않습니다. 시간까지 나타나도록 표시 형식을 바꿔보겠습니다. 날짜는 나타나지만 현재의 시간은 나타나지 않습니다. 만약 현재의 시간까지 나타내려면 NOW 함수를 사용해야 합니다. NOW 함수로 현재 시간 나타내는 방법 NOW 함수도 TODAY 함수와 마찬가지로 인수가 없는 함수입니다. B4셀에 .. 2023. 7. 14. [엑셀] NUMBERSTRING 함수로 숫자를 한글로 표시하는 방법 지난 포스팅에서는 셀 서식을 활용하여 숫자나 금액을 한글로 표시하는 방법에 대해 포스팅을 했습니다. [엑셀] 숫자(금액)를 한글로 표시하는 방법 견적서나 거래명서표 등의 양식에 있어서 금액을 한글로 표시할 때가 많습니다. 그리고 금액 앞에 '일금'자를 붙이고 뒤에는 '원정'을 붙이는 양식을 흔히 볼 수 있는데요. 엑셀에서 자동으로 숫 pddwork.tistory.com 셀 서식을 사용하는 것 외에도 NUMBERSTRING 함수를 통해서도 숫자를 한글로 표시할 수 있습니다. B2셀에 있는 숫자를 한글로 표시해 보겠습니다. B2셀에 '=NUMBERSTRING(SUM(G14:I14),1)'을 입력합니다. 첫 번째 인수 'SUM(G14:I14)'는 한글로 표시할 숫자입니다. 공급가액과 세액의 합계액을 한글로 나.. 2023. 7. 11. [엑셀] MODE 함수로 최빈값 구하는 방법 대표성을 가지는 값을 구할 때 평균값만 구하는 것이 아니라 중간값을 구하면 값의 분포에 대해 더 정확히 파악할 수 있습니다. 여기에 또 하나 추가할 수 있는 것이 최빈값인데요. 최빈값은 데이터 집합에서 가장 자주 발생하는 값인데 MODE 함수로 구할 수 있습니다. MODE 함수에는 MODE.SNGL 함수와 MODE.MULT 함수로 구분되는데 먼저 MODE.SNGL 함수에 대해 설명드리겠습니다. 함수의 구조는 아래와 같습니다. =MODE.SNGL(Number1, Number2, ...) 함수의 구조는 간단합니다. 최빈값을 구할 인수를 직접 입력하거나 범위로 지정하면 됩니다. 제자리멀리뛰기 기록에 따른 등급이 있을 때 등급 중 최빈값, 즉 가장 수가 많은 등급은 몇 등급인지 MODE.SNGL 함수로 구해보겠.. 2023. 7. 4. 이전 1 2 3 4 5 ··· 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