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업무 지식/엑셀 함수

[엑셀] INT, TRUNC 함수로 소수점 아래를 버리고 정수로 만드는 방법

by 김억지 2023. 5. 4.

 엑셀에서 소수점 아래를 버리고 정수로 만드는 방법에는 여러 가지가 있습니다. 대표적으로 ROUND 계열의 함수를 이용하는 방법이 있는데 ROUND 계열의 함수에 대해서는 아래의 포스팅을 참고하시면 되겠습니다.

 

[엑셀] 반올림, 올림, 내림 하는 방법(ROUND, ROUNDUP, ROUNDDOWN)

엑셀을 사용하다 보면 숫자를 반올림하거나 올림, 내림해야 할 때가 있습니다. 이럴 때 사용하는 함수가 ROUND, ROUNDUP, ROUNDDOWN 함수입니다. 함수의 이름에서 유추할 수 있듯이 반올림할 때는 ROUND,

pddwork.tistory.com

ROUND 계열의 함수 외에도 소수점 아래를 버릴 때 사용되는 함수가 INT, TRUNC 함수인데 두 함수는 비슷한 함수지만 중요한 차이점이 있습니다. 두 함수의 차이에 대해서 알고 계신다면 엑셀을 사용할 때 다양하게 응용할 수 있습니다. 두 함수의 구조는 아래와 같습니다.

 

=INT(Number)

 

INT 함수는 인수를 하나만 지정하는데 인수 Number는 정수로 내림하려는 실수입니다. INT 함수는 소수점 아래를 버리고 가장 가까운 정수로 내림합니다.

 

=TRUNC(Number, Num_digits)

 

TRUNC 함수는 지정한 자릿수만을 소수점 아래에 남기고 나머지 자리를 버리는 함수입니다. 

 

첫 번째 인수 Number는 지정한 자릿수 아래를 잘라 낼 숫자입니다.

 

두 번째 인수 Num_digits는 잘라내 소수점 이하의 자릿수입니다. 0을 입력하면 소수점 이하의 자릿수를 남기지 않고, 1을 입력하면 소수점 이하 1개 자릿수를 남깁니다. 생략하면 0을 입력한 것으로 간주합니다.

 

예시를 들어 두 함수의 차이점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INT, TRUNC 함수의 인수로 양수를 지정할 경우에는 결과값이 동일합니다. INT 함수는 소수점 아래를 버리고 가장 가까운 정수로 내림을 하는 함수이고,  TRUNC 함수는 지정한 자릿수만을 소수점 아래에 남기고 나머지 자리를 버리는 함수이기 때문에 결과값은 동일합니다. TRUNC 함수의 두 번째 인수는 생략할 경우 0을 입력한 것으로 간주하기 때문에 소수점 아래에 자릿수를 남기지 않습니다. 이렇게 거의 똑같아 보이는 함수이지만 인수를 음수로 입력했을 때 차이가 나타납니다.

 

인수를 음수로 입력했을 때는 값이 달라집니다. INT 함수는 소수점 아래를 버리고 가장 가까운 정수로 '내림'하는 함수이기 때문에 인수로 지정한 음수보다 낮은 정수가 나타납니다. B4셀을 보면 인수로 지정한 A4셀의 -1.6보다 작은 -2가, B5셀을 보면 인수로 지정한 A5셀의 -28.386보다 작은 -29가 나타납니다.

 

반면에 TRUNC 함수의 경우에는 지정한 자릿수만을 소수점 아래에 남기고 '나머지 자리를 버리는' 함수이기 때문에 두 번째 인수를 생략하거나 0으로 입력하면 인수로 지정한 음수보다 높은 정수가 나타납니다. E4셀을 보면 인수로 지정한 D4셀의 -1.6보다 큰 -1이, E5셀을 보면 인수로 지정한 D5셀의 -28.386보다 큰 -28이 나타납니다. 

 

두 함수의 차이점은 위에서도 설명했듯이 TRUNC 함수는 두 번째 인수를 사용할 수 있다는 점입니다. 위의 예시처럼 TRUNC 함수도 첫 번째 인수만 입력해도 되지만 소수점 이하 특정 자릿수까지 남기려면 두 번째 인수를 지정하면 됩니다.

 

TRUNC 함수의 두 번째 인수를 1로 입력하면 소수점 이하 하나의 자릿수만 남기고 나머지 자리를 버리고, 2로 입력하면 소수점 이하 두 개의 자릿수를 남기고 나머지를 버리게 됩니다.

 

반면 INT 함수의 경우에는 소수점 아래를 버리고 가장 가까운 정수로 내림하는 함수이기 때문에 인수를 하나만 입력할 수 있으며, 두 번째 인수는 입력할 수 없습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