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UMIF 함수를 이용하면 특정 조건에 맞는 셀의 합계를 구할 수 있습니다. 그런데 SUMIF 함수는 조건을 하나만 설정할 수 있는데 실제로는 두 가지 이상의 조건에 맞는 셀의 합계를 구해야 할 경우가 많습니다..
두 가지 이상의 조건에 맞는 셀을 구할 때는 SUMIFS 함수를 이용하면 되는데 SUMIFS 함수의 인수는 아래와 같이 이루어집니다.
=SUMIFS(Sum_range,Criteria_range1,Criteria1,Criteria_range2,Criteria2,................)
첫 번째 인수 Sum_range는 합계를 구할 셀의 범위 입니다.
두 번째 인수 Criteria_range1은 첫 번째 조건에 맞는지 검사할 범위입니다.
세 번째 인수 Criteria1은 두 번째 인수로 설정한 범위에서 검사할 조건입니다.
네 번째 인수 Criteria_range2는 두 번째 조건에 맞는지 검사할 범위입니다.
다섯 번째 인수 Criteria2는 네 번째 인수로 설정한 범위에서 검사할 조건입니다.
조건이 두 가지일 경우 인수는 총 다섯 가지로 이루어지며, 조건이 더 있을 경우 Criteria_range3,Criteria3 이런 식으로 인수를 추가해주면 됩니다.
만약 발주처가 '서울'인 주문수량의 합계를 구할 때는 SUMIF 함수를 이용하여 구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조건이 두 가지 이상일 때, 예를 들어 발주처가 '서울'이면서 물품이 '노트북'인 주문수량의 합계를 구할 때는 SUMIIFS 함수를 사용해야 합니다.
첫 번째 인수 E2:E16은 합계를 구할 범위, 두 번째 인수 B2:B16은 첫 번째 조건을 검사할 범위, 세 번째 인수 "서울"은 첫 번째 조건, 네 번째 인수 C2:C16은 두 번째 조건을 검사할 범위, 다섯 번째 인수 "노트북"은 두 번째 조건입니다. 수식을 이렇게 입력한 다음 결과를 확인해 보겠습니다.
발주처가 서울이고 물품이 노트북의 주문수량 합계가 나타납니다. (확인을 위해 노란색 배경으로 표시했습니다.)
수식에 조건을 직접 입력하지 않고 셀을 입력해서 구할 수도 있습니다.
I2셀에 '=SUMIFS($E$2:$E$16,$B$2:$B$16,G2,$C$2:$C$16,H2)'을 입력하면 발주처가 서울이고 물품이 노트북인 주문수량의 합계를 구할 수 있습니다. I2셀에 수식을 입력한 다음 I5셀 까지 드래그 해서 수식을 채워넣을 예정입니다. I2셀을 드래그 했을 때 합계 범위나 조건의 범위가 달라지면 안 되기 때문에 첫 번째 인수, 두 번째 인수, 네 번째 인수를 절대 참조로 입력을 하였습니다.
반대로 세 번째 인수와 다섯 번째 인수는 조건인데 I2셀을 I5셀 까지 드래그 했을 때 조건이 변경되어야 하므로 상대 참조로 입력하였습니다.
I2셀을 I5셀 까지 드래그 했을 때 I5셀의 수식을 보면 합계 범위나 조건 범위는 절대 참조 이므로 변하지 않고 상대 참조로 입력한 세 번째 인수와 다섯 번째 인수는 상대 참조로 입력했기 때문에 셀에 맞게 변경되어 수식이 알맞게 입력이 된 것을 보실 수 있습니다.
'업무 지식 > 엑셀 함수'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엑셀] MAX, MIN 함수로 최댓값과 최솟값 구하기 (0) | 2023.02.23 |
---|---|
[엑셀] COUNTIFS 함수로 두 가지 이상의 조건에 맞는 셀의 개수 구하기 (0) | 2023.02.19 |
[엑셀] COUNTIF 함수로 조건에 맞는 셀의 개수 구하기 (0) | 2023.02.18 |
[엑셀] COUNTA, COUNTBLANK 함수로 비어 있지 않은 셀과 비어 있는 셀의 개수 구하기 (0) | 2023.02.17 |
[엑셀] SUMIF 함수로 조건에 맞는 셀의 합계 구하기 (0) | 2023.02.15 |
댓글